Chainsmoker's Block
(취득O)[자격증 - 블록체인관리사 자격증]220629 CBM교육 2일차 - 오전 메모내용 본문
http://kbcia.or.kr/cbm-%EC%9E%90%EA%B2%A9%ED%91%9C%EC%9E%A5-%EA%B0%80%EC%9D%B4%EB%93%9C/
CBM 자격표장 가이드 - (사)한국블록체인산업협회(KBCIA)
Start typing and press Enter to search
kbcia.or.kr
CBM자격증과 관련된 정보는 위 링크(한국블록체인산업협회의 글)를 확인바람.
@2일차 수업 - 오전
Consensus algorithm(합의 알고리즘)
*보안성을 높였다는 것
: 해커의 기회비용이 늘어난다.
<Nonce>
- 논스 : 아직 결정되지 않은 임의의 수
- 조건을 충족하는 논스의 값을 가장 먼저 찾으면 최종적으로 블록의 해시값이 결정되고 블록이 생성된다(=채굴)
- 조건을 충족하는 논스 값은 컴퓨터의 복잡한 연산과정을 거쳐 찾게되며, 논스 값을 찾았다는 것은 어려운 작업을 수행했다는
증명.
- 논스 값이 결정되면 해당 네트워크의 메인 화폐가 발행되어 채굴자(블록의 생성자)에게 대가로 지급한다.
<공개키, 개인키>
- 공개키 : 은행의 '계좌번호'와 유사한 블록체인 지갑을 식별하는 식별번호. 개인키를 통해 생성되지만 공개키를 통해 개인키를 알아내는
것은 불가능
- 개인키 : 블록체인 지갑을 만들 때 생성되며 생성된 개인키를 특정 함수에 적용하여 공개키를 얻어냄. 모든 거래는 개인키로
거래를 승인해야 이루어짐.
- 시드구문 : 다수의 지갑에 접근할 수 있으며 하나의 시드구문에서 무한대의 개인키를 생성할 수 있음.
- 주소 : 공개키의 해시된 형식
블록 = 결정
Deterministic(Seeded)
- 단방향 Hash함수를 통해 개인키를 연속적으로 생성
- Private Key의 Depth에 따라 1:1 Maping 제한
Nondeterministic(Random)
- 무작위 Private Key사용
- 보안 문제를 해결(여러개의 지갑 사용)
- 거래시 마다 새로운 지갑
Hierarchical Deterministic
- Private Key의 Depth에 따라 1:N Maping가능.
<SEED CREATE>
- seed : 128~256bits 무작위성 랜덤바이트
- 복원 : Mnemonic word로 치환
- DIGEST = PBKDF2(PRF, 패스워드, Salt, c, DLen)
- PRF = 난수(HMAC)
- Password = 패스워드
- Salt : 암호화 솔트
- c :
- DLen : 원하는 다이제스트 길이(default = 64바이트)
-
[P2P]
OVERLAY TYPE
- 구조화된 시스템
- 구조화되지않은 시스템
<이더리움>
- 비탈릭부테린
- 스마트컨트랙트 :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계약
- DApp : 분산 어플리케이션
- 토큰 이코노미 : DApp의 비즈니스 모델 - 주로 인센티브 모델로 활용
- 주요가치
- 개방성
- 무허가성
- 상호운영성
- 결합성
<스마트 컨트랙트>
- NICK SZABO(닉 샤보) : 계약 내용을 코드화하고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동작하는 개념을 최초로 체계적인 방법화로
스마트컨트랙트라는 용어를 제안.
- 블록체인을 통해 위변조 차단 및 탈중앙화로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구현이 가능하게 됨.
- 계약을 코드로 구현 => 특정 조건 충족 시에 계약이 수행하는 스크립트(인터프리터)
- 투명성 거래내역 공개, 중개인 비용 및 거래 수수료 비용을 절감할 때 유용
- 누구나 컨트랙트 배포 가능
- 컨트랙트의 소유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든지 검증이 가능.
- 코드의 실행을 자동화
- 위변조가 어려움
- 1994년 닉 샤보에 의해서 고안되었다. 2013년 비탈릭부테린이 도입
- 제 3의 중개자나 상호 신뢰없는 거래가 가능한 구조
- NFT로 스마트컨트랙트의 경쟁력 확인
- ERC721(크립토 키티)
- ERC1155
- 효과적인 이전 : 대규모의 토큰 전송 가능
- 단일 계약의 여러 토큰 : 같은 계약 조건에서는 대체가 가능
- 보안 토큰 전송 : 트랜잭션 유효성이 없다면, 토큰 발급자에게 반환한다.(코드적 취소하는 기능)
<토큰 이코노미>
- 행동 심리학에 기반한 치료법에서 유래.
- 행동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토큰 보상을 통해서 행동 변화를 일으키는 방법을 연구.
- 메인넷, DApp의 보상 매커니즘이 필요.
- 자발적 참여에 대한 보상 체계로 설계에 반영.
<ERC - 20>
- 비탈릭 부테린이 2015년 제안
- 이더리움 기반에서 토큰을 생성하는 규약
- 개발하지 않고도 생성이 쉽게 가능
- DApp토큰 규격으로 주로 많이 사용
- 전체 발행량, 홀더, 프로젝트명(이름), 심볼, 락, 회수(조각)
- Non Fungible Token <-> NFT
코인과 토큰의 차이
: 코인은 메인넷을 사용하는가 사용하지 않는가의 여부.(사용할 시는 코인)
토큰은 메인넷 위에서 DApp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말함.
<토큰의 종류>
- SECURITY TOKEN : 권리 투자 목적토큰
- UTILITY TOKEN : 생태계의 서비스 및 재화 구매/사용이 목적으로 결제, 투표, 거래 수수료 등 다양한 활동에 사용되는 토큰
<M2E프로젝트, STEPn과 GST/GMT토큰
- 앱 다운로드 후 솔라나 기반의 운동화 nft를 구매하고 뛰면 gst토큰 채굴
- GST 사용처
- 신발 수리
- 신발의 능력치 향상시키는 Gem 부착에 필요한 소켓 장착
- Gem 업그레이드
- 신발 레벨업
- GMT 사용처
- 10/20/30 특정 레벨 달성 필요
- 신발 능력치 재설정
- 희귀 등급, 상위레벨 신발에 민팅이 필요
- Gem을 4레벨 이상 업그레이드 시 사용
'컴퓨터관련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서포터즈 모집 (~9/28 수) (0) | 2022.09.19 |
---|---|
(취득O)[자격증 - 블록체인관리사 자격증]220629 CBM교육 2일차 - 오후 메모내용 (0) | 2022.06.29 |
(취득O)[자격증 - 블록체인관리사 자격증]220628 CBM교육 1일차 - 오후 메모내용 (0) | 2022.06.29 |
(취득O)[자격증 - 블록체인관리사 자격증]220628 CBM교육 1일차 - 오전 메모내용 (0) | 2022.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