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인공부(WEB, Python, DB)/Python (172)
Chainsmoker's Block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2. 문자열 자료형 : 문자열이란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아래에 예를 들어본다. 예시에서의 문장을 보면 모두 큰따옴표(" ")로 둘러싸여 있다. '123은 숫자인데 왜 문자열인가?'라는 의문이 드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따옴표간의 차이점을 알 필요가 있다. @문자열은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까? 위 예에서는 문자열을 만들 때 큰따옴표(" ")만을 사용했지만 이 외에도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3가지가 더 있다.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총 4가지이다. 아래 방법을 살펴보자. -1. 큰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 -2. 작은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 -3. 큰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써서 양쪽 둘러싸..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1. 숫자형 :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으로, 우리가 이미 잘 알고 있는 것이다. 흔히 사용되는 숫자 형태는 1, 2, 3과 같은 정수, 12.34와 같은 실수, 드물게 사용하긴 하지만 8진수나 16진수같은 것이 있다. 아래 표는 파이썬에서 숫자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간략하게 보여준다. 이제 이런 숫자를 파이썬에선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 숫자형은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까? 정수형(Integer) : 말 그대로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을 말한다. 실수형(Floating-point) :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를 말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실수형의 소수점 표현 방식이다. 위 방식은 '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으로 파이썬에선 4.24e10 또는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