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인공부(WEB, Python, DB) (238)
Chainsmoker's Block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문자열 관련 함수 *리스트는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까? : 리스트를 사용하면 1, 3, 5, 7, 9 숫자 모음을 아래 코드와 같이 간단하게 표현 가능하다. Source : odd = [1, 3, 5, 7, 9] 리스트를 만들 때는 위 소스와 같이 대괄호([])로 감싸준 후 각 요솟값(1, 3, 5, 7, 9)은 쉼표(,)로 구분하여 준다. ex) 리스트명 = [요소1, 요소2, 요소3, ...]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문자열 관련 함수 : 문자열 자료형은 자체적으로 함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 함수를 다른 말로 문자열 내장 함수라 합니다. 이 내장함수를 사용하려면 문자열 변수 이름 뒤에 '.'를 붙인 다음에 함수 이름을 써주면 됩니다. -문자 개수 세기 > [Source] : a = "hobby" a.count('b') [result] : 2 [info] : 문자열 중 문자 b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값으로 돌려준다. > -위치 알려주기 1(find) > [Source] : a = "Python is the best choice" a.find('b') a.find('k') [result] : 14 #문자열에서 b가 처음 나온 위치를 의미. -1 [info] : 문자열 중 ..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포맷 함수를 사용한 포매팅 -f문자열 포매팅 : 3.6버전 이하에서는 f문자열 포매팅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버전체크를 하길 바란다. 아래 예시와 같이 문자열 앞에 f접두사를 붙이면 f문자열 포매팅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f문자열 포매팅은 변수값을 생성하고 그 값을 참조할 수 있다. 아래 예시도 보자. 딕셔너리는 f문자열 포매팅에서 아래 예시와 같이 사용된다. 정렬도 아래와 같이 가능하다. 아래와 같이 공백을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로 아래와 같이 소수점 표현이 가능하다. f문자열에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다음 예시와 같이 두개를 동시에 사용해야 한다.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포맷 함수를 사용한 포매팅 -오른쪽 정렬 : 오른쪽 정렬은 :을 사용하면 된다. 화살표의 방향을 생각하면 어디로 정렬될지 예상 가능하다. -가운데 정렬 : :^기호를 사용하면 가운데 정렬이 가능하다. -공백 채우기 : 위 이미지처럼 정렬할 때 공백문자 대신에 지정한 문자 값으로 채워넣는것도 가능하다. -소수점 표현하기 : format 함수를 사용하여 소수점을 4자리까지만 표현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0.4f를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자릿수를 10으로 맞출 수도 있다. 앞에서 살펴본 10.4f의 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또는}문자 표현하기 : format함수를 사용해서 문자열 포매팅을 할 경우에는 {}와 같은 중..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포맷 코드와 숫자 함께 사용하기 : %d와 %s등의 포맷코드는 문자열 안에 어떤 값을 삽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코드이다. 하지만 포맷코드를 숫자와 함께 사용하면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래를 보자. 정렬과 공백 %10s는 전체 길이가 10개인 문자열 공간에 대입되는 값을 오른쪽으로 정렬하고 그 앞 나머지 값은 공백으로 남겨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10s일때를 살펴보자. hi를 왼쪽으로 정렬 후에, 나머지는 공백으로 채우고 Dave를 출력했음을 보여준다. 소수점 표현하기 3.42134234를 소수점 네 번째 자리까지만 나타내고 싶은 경우엔 위 사진과 같이 사용한다. 작은따옴표의 의미는 소수점 포인트를 말하고, 그 뒤의 숫자 4는 소수점..

01.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 정리 1. 데이터와 정보 - 데이터 : 현실의 세계에서 단순히 관찰하거나 측정하여 수집한 사실이나 값을 말한다. - 정보 : 의사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물을 말한다. 2. 정보처리 / 정보시스템 / 데이터베이스(DB) - 정보 처리 : 데이터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또는 방법을 말한다. - 정보 시스템 : 조직을 운영해 내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해두었다가 필요할 때 유용한 정보를 만들어주는 수단을 말한다. - 데이터베이스(DB) : 정보 시스템 안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3.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 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해서 저장한 운영데이터의 집합이..

[01.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 --03.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데이터를 모아두는 것이다. 데이터과학, 빅데이터도 결국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에서부터 그 기술이 시작된다. 나에게 맞는 데이터르 ㄹ수집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집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유형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유형별로 저장 및 처리 기술을 적합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는 형태에 따라 정형데이터, 반정형데이터, 비정형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1. 정형 데이터 : 정형 데이터는 구조화된 데이터로, 미리 정해진 구조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말한다. -2. 반정형 데이터 : 반정형 데이터는 구조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이지만 정형 데이터와는 다르게 데이터 내용 안에 구조에 대한 ..

1.3 안드로이드의 연혁(길어서 연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는 2005년 캘리포니아주의 팔로알토에 위치한 '안드로이드'라는 회사를 인수한 뒤로 구글(Google)주도하에 개발되고 있다. 구글이 주로 채택하는 '오픈소스 정책을 보여주듯이 안드로이드는 2008년 10월 21일 오픈소스로 선언되었다. 당시 공개된 소스코드에도 이미 '네트워크'와 '텔레폰 스택'이 모두 포함되어있었을 뿐 아니라, Apache(아파치) 라이센스를 적용하여 별도의 라이센스 비용없이 제조사가 개발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이후 안드로이드는 급속도로 버전 업데이트를 반복하여 초기의 부족한 모습에서 탈피하여 완성도를 높여 나갔으며, 현재에는 가장 인기있는 스마트폰 운영체제가 되었다. 버전 업데이트에 관련하여 ..

1.2 안드로이드의 특징? : 안드로이드는 현재 스마트폰 시장에서 가장 널리 통용되고 있는 운영체제(OS)이다. 이런 비결을 알기 위해서 안드로이드의 특징에 대해서 더 구체적으로 알아봐야 한다. - 1.2-01. 오픈소스와 무료 라이센스 : 기본으로 제공되는 모든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소스로 '오픈 소스'를, 라이센스로는 '아파치(Apache) 2.0라이센스'를 사용하고 있다. 알고있으면 좋다. '오픈 소스'라 하면 무료일 것으로 추측하기 쉽겠지만 오픈소스라고 모두 무료는 아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는 무료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따로 라이센스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제조사들의 공급 단가를 낮추는데에 일조하고 있다. 이 점은 안드로이드가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게 된 주요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 1.2..

본격적으로 안드로이드란 무엇인이 잘아보자. 1.1 안드로이드란? : 안드로이드에 대한 어원은 그리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Andro(인간)'dhk 'Eidos(형상)'의 합성어로서 '사람을 닮은 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 로봇'을 다루는게 아니라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안드로이드'를 다룰 것이다. 소프트웨어관련 업계에서 "안드로이드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단답형으로 답한다면 "안드로이드는 운영체제(OS)이다."라고 답할 수 있다. - 안드로이드는 운영체제이다. :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는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하고 나아가서는 사람과 장치를 연결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잘 알려진 운영체제로 MS(MicroSoft)사의 Wind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