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인공부(WEB, Python, DB)/Python (176)
ChainSmoker’s Block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8.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 변수 ===================리스트를 복사할 때 : 리스트 자료형에서 가장 혼동하기 쉬운 '복사'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아래 예시를 알아보자. b변수에 a변수를 대입하면 b와 a가 같은건지 다른건지 아는가? 결론부터 말하면 b는 a와 완전하게 동일하다. 그러나, [1, 2, 3]리스트를 참조하는 변수가 a변수 1개에서 b변수가 추가되어 2개로 늘어났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id함수를 사용하면 이 사실을 확인해볼 수 있다. id(a)의 값이 id(b)의 값과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a가 가리키는 대상과 b가 가리키는 대상이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일한 객체를 가리키고 있는지에 대해서 판단하는 파..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8.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 변수 ===================변수란? : 8_2에 이어 설명. a변수가 가리키는 메모리의 주소는 아래와 같이 확인 가능하다. id함수는 변수가 가리키고 있는 객체의 주소값을 돌려주는 파이썬의 내장함수로, 여기에서 변수a가 가리키는 리스트[1, 2, 3] 리스트의 주소값은 2180181934144임을 알 수 있다.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8.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 변수 ===================변수란? :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객체란 우리가 지금껏 보아온 자료형과 같은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위 코드처럼 a = [1, 2, 3]이라고 하면 [1, 2, 3]값을 가지는 리스트 자료형(객체)이 자동으로 메모리에 생성되고 변수 a는 [1, 2, 3]리스트가 저장된 메모리의 주소를 가리키게 된다.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8.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 변수 ===================* § * : 지금부터 설명해볼 내용은 프로그래밍의 초보자가 빨리 이해해보기 어려운 내용 및 부분이므로 당장 이해되지 않는다면 바로 건너뛰어도 좋다.; 이후에 자연스럽게 알 수 있는 내용이므로 크게 걱정안해도 된다. 우리는 이미 앞에서 변수를 많이 사용해왔었다. 아래 예시에서 a, b, c를 변수라고 부른다. 변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위 예시처럼 (=)assignment기호를 사용한다. ex) 변수 이름 = 변수에 저장할 값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인 C나 자바에서는 변수를 만들 때 자료형은 직접 지정해둬야 한다. 하지만 파이썬은 변수에 저장된 값을 스스로 판단해서 자료형을 지정하기 때문에..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7. 불 자료형 ===================불 연산 : 7_6에 이어 설명. 7_6에서 알아본 몇 가지 예제를 더 자세히 알아보자. 알아본 것과 동일한 참(True), 거짓(False)에 대한 결과를 돌려주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여기까지 파이썬의 기본이 되는 자료형인 숫자, 문자,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불(bool)에 대해 알아보았다. 잘 따라왔다면 파이썬언어에 대해 대략적으로 5~60퍼센트는 습득했다고 보아도 좋다. 자료형은 중요하며, 프로그램의 근간이 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해 놓지 않으면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없다. 글에 있는 예제만 따라해 보지 말고, 직접적으로 여러 가지 예들을 만들며, 응용하여 테스트해보길 바란다. 마지막..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7. 불 자료형 ===================불 연산 : 자료형에 참과 거짓이 있음을 알아보았다. bool 내장함수를 사용하면 자료형의 참과 거짓을 식별해볼 수 있다. 아래 예시를 보자. 'python'문자열은 빈 문자열이 아니므로 bool연산의 결과로 불 자료형인 True를 돌려준다. 위 예시에서 ' '은 한칸을 뛰었기에 비어있지 않은 문자열로 인식한다. 결과로 True를 돌려주며, ''은 비어있는 문자열로 인식하여 False를 결과값으로 출력시켜 준다. 원본글 : https://steemit.com/hive-137029/@chainsmokerslav/python-02-76 [하나하나Python]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 7_6 —..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7. 불 자료형 ===================불 자료형이란? : 7_4에 이어 설명. a가 참일 때, a.pop()을 계속 실행하라는 의미가 7_4의 예시의 의미이다. 리스트 a의 마지막요소를 끄집어내는 함수이므로 리스트 내에 요소가 존재하는 한으로는 마지막 요소를 계속하여 끄집어낼 것이다. 결국 더 이상 끄집어낼 수 있는것이 없으면 a가 빈 리스트([])가 되어 거짓이 된다. 따라서 while문에서 조건이 거짓이 되므로 중지된다. 파이썬의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는 기법 중 하나이다. 꼭 알아두길 바란다. []는 앞의 예시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비어있는 리스트이므로 거짓이다. 따라서 '거짓'이란 문자열이 출력되게 된다. if문에 대해서 잘 모르..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7. 불 자료형 ===================자료형의 참과 거짓 : 7_3에 이어 설명. 아래 예시를 보고 참, 거짓이 어떻게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지 간단하게 알아보자. a = [1, 2, 3, 4]에서 리스트가 하나 만들어진다. while문은 다음 장(3장)에서 자세하게 다룰 것이다. 조건문이 참인 동안 조건문 안에 있는 문장을 반복해서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리 사용되는 형식 =>while 조건문: 수행할 문장 원본글 : https://steemit.com/hive-137029/@chainsmokerslav/python-02-74 [하나하나Python]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 7_4 — Steemit [02. 파이썬 ..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7. 불 자료형 ===================자료형의 참과 거짓 : 자료형에 참과 거짓이 있다? 참과 거짓은 자료형에 분명하게 존재한다. 하지만 자료형에서의 분명한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참과 거짓을 구별해 볼 필요가 있다. 문자열 자료형 EX) "python" -> 참, " "(문자열에 값이 빌 경우) ->거짓 리스트 자료형 EX) [1, 2, 3] -> 참, [ ](리스트 목록에 값이 빌 경우) -> 거짓 튜플 자료형 EX) ( )튜플 내에 값이 빌 경우 -> 거짓 딕셔너리 자료형 EX) { }딕션 내에 값이 빌 경우 -> 거짓 숫자형 자료형 EX) 0이 아닌 숫자 -> 참, 0(숫자형 정수가 0일 경우) -> 거짓 NONE(이후에 자세히 배울 예정..

[02.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 -7. 불 자료형 ===================불 자료형이란? : 7_1에 이어 설명. 불(bool)자료형은 조건문 반환값으로도 사용이 된다. 조건문에 대해서는 if문에서 자세히 배울 수 있겠지만, 잠시 아래 예시로 살펴보고 가자. 1 == 1은 '1과 1은 같은가?'를 물어보는 조건문이다. 이러한 조건문은 결과로 True(참), False(거짓)에 해당되는 불 자료형을 돌려준다. 1과 1은 같으므로 True를 결과로 돌려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 1은 '2가 1보다 큰가?'를 물어보는 조건문이다. 결과가 참이므로, True를 돌려준다. 2 < 1은 '2가 1보다 작은가?'를 물어보는 조건문이다. 결과가 거짓이므로, False를 결과값으로 돌려준다.